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물과 불이 때로는 생명을 앗아가고 삶을 위협하기도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물관리시스템을 수시로 보완하여 가뭄과 홍수를 막아야 한다. 지금 남부지방은 비가 장기간 내리지 않아 식수 걱정은 물론 공장가동도 중단되는 상태라 한다.
폭우가 쏟아지면 흙탕물이 순식간에 넘쳐 논, 밭은 물론 도로를 덮어 버리고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지방자치 단체가 하천과 저수지를 준설하여 물을 확보하는 일이 시급한데도 그런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 자치단체 내에 하천, 저수지 준설팀을 설치해야 한다.
필자는 하천준설을 요구하는 칼럼을 주기적으로 쓰고 있다.
하천을 준설하여 항상 물이 고여 있으면 물고기들이 다시 자라게 될 것이고 폭우가 쏟아져도 배수가 잘되어 홍수걱정이 없어진다.
하천의 무한한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 이명박 정권 때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4대강 사업을 강행하였다. 지금도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여러번 폭우에도 4대강 주변은 비교적 안전했다.
전국의 강과 소하천 그리고 실개천을 원상태로 복원하면 한국의 기적이 또 하나 생기는 것이다.
지자체가 지속적으로 실천할 때 가능한 사업이지만 전 국민이 물관리에 관심을 갖고 하천과 저수지에 물이 항상 고여 있도록 해야 한다.
하천 살리기 운동은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되고 우리 경제의 원동력이 되어 한국은 또한번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수백만 관광객이 전국 방방곡곡을 찾는 날이 오도록 해야 한다.
소하천과 실개천 그리고 산을 잘 활용하면 교통, 관광, 양식, 놀이장등 다양한 분야로 경제적 효과가 나타 날수 있다. 대마도에는 바닷물이 시내중심까지 들어오도록 하여 밀물 때는 물고기까지 같이 올라와 장관을 이루고 개천 양측 면 석축엔 조선통신사행차도를 전시하여 한국관광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물관리 경제가 성공한다면 주민의 안전과 소득증대는 물론 관광 수입 또한 증가 할 수 있는데 그 가치를 모르고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비만 오면 늘 걱정하는 개천의 범람도 옛날이야기가 되는 때가 빨리 오기를 기대해 본다.
하천 준설은 자치단체의 장비를 활용하거나 건설현장 비수기에 민간장비를 활용 하는 것이 좋다. 세워놓은 장비도 활용하고 농촌인력을 사용하여 농한기에 농가수익을 올릴 수 있어 좋다. 준설은 매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댐과 중소저수지의 담수율을 높여야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