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가 노후 원도심 정비를 위해 추진하는 ‘미래타운’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시는 행신동과 일산동을 포함한 9개 지역을 후보지로 선정하고 단계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기존의 개별 소규모 정비사업이 가진 한계를 보완하고 체계적인 주거환경 개선과 생활 인프라 확충을 목표로 하지만, 서울시의 ‘모아타운’ 사업에서 나타난 시행착오를 고려할 때 유사한 문제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고양시 미래타운은 10만㎡ 이내의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계획으로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대규모로 추진된다. 공공이 참여할 경우 정비 가능 면적이 최대 4만㎡까지 확대되며, 단순한 개별 재개발을 넘어 통합적 주거 환경 개선이 가능하다. 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소규모 주택정비 활성화 연구용역을 수행한 뒤, 일산·원당·능곡·행신·고양·관산동 등 9개 지역을 미래타운 후보지로 확정했다.
1호 미래타운으로 지정된 행신동은 기존 개별 정비사업이 낮은 사업성과 용적률 제한으로 난항을 겪던 지역이다. 연세빌라는 2021년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을 설립했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인해 추진이 지연되었다. 그러나 미래타운으로 지정되면서 은하연립과 다가구주택 부지를 포함한 통합 개발이 가능해졌고, 행정적 지원을 통해 주민 간 의견 조율도 이루어지고 있다.
2호 미래타운으로 지정된 일산동 세인아파트 일대는 현재 관리계획 수립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개별 추진되던 단지들을 하나로 묶어 사업성을 높이는 방식이 적용되었으며, 상반기 경기도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산동 지역은 교통난 해결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이번 미래타운 계획이 도로 및 공원 확충과 연계될 예정이다.
고양시는 미래타운에서 증가한 용적률의 일부를 공공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이것이 실질적인 세입자 보호 대책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보다 구체적인 이주 지원책과 재정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서울시 모아타운 사례에서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 확충 없이 개발이 진행되며 주민 불만이 커졌던 전례를 고려할 때, 고양시 역시 동일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사전 계획이 필요하다.
현재 일산동 미래타운에서는 도로·공원 확충이 병행 추진되고 있으나, 다른 지역에서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특히 행신동과 같은 고밀도 지역에서는 교통 문제 해결이 필수적이다. 고양시는 행정 주도의 주민 설득과 교육을 강조하며 ‘미래타운 관리계획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시민 대상 강좌를 운영하는 등 주민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 사례를 보면, 행정 주도의 사업 추진만으로는 갈등 해결이 어렵다는 점이 명확하다.
이에 따라 △세입자 보호 대책 구체화 △주민 의견 수렴 강화 △기반시설 확보 의무화 등의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전문가들은 “사업 추진 속도보다 중요한 것은 주민과의 충분한 협의 과정”이라며,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중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