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2020 DMZ 포럼 개회‥DMZ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새로운 담론의 장 열려

17일 온라인 개회식 시작으로 18일까지 이틀간 진행‥국내외 석학 90여명 참여

국내외 석학들이 머리를 맞대 분단의 상징이었던 DMZ를 평화의 상징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2020 DMZ 포럼’이 17일 오전 온라인 개회식을 시작으로 담론의 장을 활짝 열었다.

개회식에는 이재명 지사, 이해찬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임동원 렛츠 디엠즈(Let’s DMZ) 조직위원회 위원장(전 통일부 장관), 이인영 통일부장관의 개회사·환영사·축사가 영상으로 공개됐다.

이재명 지사는 개회사에서 “평화는 양보할 수 없는 가치이자 분단의 땅 한반도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매우 절실한 과제”라며 “평화는 만드는 것도 지키는 것도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지사는 “남북관계가 경색되고 대화도 어려운 지금이야말로 어느 때보다 평화를 위한 노력과 실천이 필요하다”며 “이번 포럼이 평화를 바라는 이들의 통찰과 혜안을 모으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해찬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이번 포럼은 분단의 상징인 비무장지대를 세계적인 생태와 평화의 상징으로 바꾸기 위한 장”이라며 “지혜와 열정, 토론과 나눔이 한반도 평화와 협력의 시간을 앞당기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동원 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DMZ 포럼은 분단과 냉전의 유산인 DMZ에 대한 평화로운 접근법을 새로 마련하는 자리”이라며 “지혜의 향연 속에서 난국을 타개할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인영 통일부장관은 “남북이 다시 평화와 협력의 문 앞에 설 때 DMZ는 화해와 대화의 물줄기가 시작되는 발원지이자 국제평화지대로 변모하게 될 것”이라며 “오늘 이 자리가 DMZ의 평화롭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이정표가 되길 기원한다”고 축사를 했다.

이어 경기도의 대북협력 사업 제안을 발표한 이재명 지사, 2011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라이베리아 출신의 평화운동가 리마보위, 국제관계학 석학인 미국 하버드대학교 조셉나이 교수의 기조연설이 영상으로 진행됐다.

조셉나이는 ‘중-미 관계와 한반도의 평화’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평화와 번영에 대한 전망은 강대국들의 정치로 더욱 복잡해졌다. 북한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미, 미중사이의 긴밀한 관계가 필요하다”며 “한국, 미국, 중국이 힘을 합쳐 이 긴 게임을 치른다면 한반도에서의 핵 위협봉쇄와 평화라는 공동이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마보위는 ‘분단을 넘어 협력으로’라는 연설을 통해 “평화는 그저 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 아닌 모든 사람을 존엄하게 만드는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정치가 장벽을 허무는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사람들의 참여, 그들의 요구, 열망이 평화를 둘러싼 모든 논의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9.19 평양 남북공동선언 2주년을 맞아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연구원, ㈜킨텍스,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한반도종전평화캠페인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DMZ 포럼은 국내외 석학, 전문가, 평화NGO 등 90여명이 참여해 ‘DMZ는 평화를 원한다’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17~18일 양일간 ▲기조연설 ▲DMZ의 역사적 가치와 보전 등을 다루는 ‘기획세션’ ▲평화운동NGO가 참여하는 ‘평화운동 협력세션’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 등을 논의할 ‘특별세션’ ▲남북 과학기술 협력 등을 다룰 ‘초청세션’ 등을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한다.

특히 18일 진행될 평화운동 협력세션에서는 최근 ㈔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으로 취임한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영상 특별강연을 통해 남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과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미국대사가 공동 주재하는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라는 주제의 ‘특별세션’과 포럼을 마무리하는 ‘종합토론’도 진행된다.

이번 DMZ 포럼은 공식 홈페이지(www.dmzforum.or.kr)에 접속하면 세션 시청 등 관련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