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의 올해 5월 야생동물 구조 건수가 총 535건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09년 센터 개소 이후 최다 규모의 월별 구조 건수로, 센터의 한 해 평균 구조 건수가 약 2,000건인 점을 고려하면 올해 구조 예상 건수의 약 26.7%가 5월 한 달에 집중된 셈이다.
특히 5월 한 달간 구조된 야생동물 중 어미를 잃은 새끼가 351건(조류 337건, 포유류 14건)으로 전체 건수의 65.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물 유리창과의 충돌로 다쳐 구조된 건수가 45건(8.4%)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5월에 어미를 잃은 새끼 동물이 많이 구조된 것에 대해 센터는 봄철 나들이객이나 등산객들이 ‘이소(離巢)’ 단계의 날지 못하는 어린 새를 신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소’란 어린 새가 커서 둥지를 떠나는 과정으로, 보통 이 단계의 어린 새들은 비행 능력이 서툴고 낯선 환경으로 인해 어른 새처럼 잘 날지 못해 땅에 앉아있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상황을 잘 모르는 사람의 경우, 이런 새를 발견하고 상처를 입었거나 고양이 등 포식자에게 공격당할 수 있다고 판단해 집으로 데리고 와서 키우거나 구조센터에 신고 전화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다만, 이소 단계는 어린 새가 독립적으로 야생세계에 발을 딛는 첫 관문이자, 야생에서 살아가는 필요한 것들을 습득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구조활동에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센터는 강조했다.
자칫 생존을 위해 배워야 할 필수적인 것들을 놓치게 돼, 구조센터를 거쳐 자연으로 복귀하더라도 야생에서 살아남기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약 산책 중 날지 못하는 어린 새를 발견할 시에는 바로 구조하는 것보다는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 전화해 전문가와 먼저 상담하는 것이 좋다.
박경애 동물보호과장은 “어린 새는 특별히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아닌 이상 야생생태계의 일원으로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것이 가장 좋을 수 있다”라며 “구조센터에서 봄철 급증하는 야생동물 구조 및 치료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니 도민들의 많은 관심과 호응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