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공공기관, 환경·사회·투명(ESG) 경영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준비 수준은 매우 낮아…“공공기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필요”

경기연구원, '공공기관 ESG 첫걸음은 맞춤형으로' 발간

전국 공공기관 85.5%가 환경?사회?투명경영(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공공기관 70.4%는 정부 및 지자체 상급기관이 공공기관 ESG 경영 도입 및 실효적 운영을 위한 지원 수준이 미흡하다고 응답하는 등 ESG 경영 준비 수준이 매우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9월 13~20일 공기업, 출자기관, 출연기관, 연구개발목적기관 등 76개 공공기관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공공기관 ESG 첫걸음은 맞춤형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공공기관의 ESG 도입 및 운영에 있어 공공기관 67.1%는 ESG 이해 교육 및 안내자료 부족을, 61.8%는 기관의 성격에 맞는 ESG 성과 및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을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ESG 추진에 가장 어려운 요소로 E(환경) 41.4%, G(지배구조) 40.8%, S(사회) 17.8%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ESG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우선 준비해야 할 것으로 41.8%가 E(환경), 30.7%가 G(지배구조), 27.5%가 S(사회)라고 응답하는 등 가장 어려운 부문과 우선 준비해야 할 부문이 E(환경) 부문으로 인식돼 환경과 지배구조 실천전략 수립이 가장 큰 과제로 나타났다.

ESG를 위해 조직 내부적으로 필요한 정책 수단으로 ESG 교육 및 컨설팅, ESG 도입 및 운영 방법론 확산, ESG 경영기본계획 수립, ESG 직원 간 공감대 형성을 꼽았다. 더불어 외부지원으로 바라는 정책 수단은 기관 특성 반영 맞춤형 ESG 평가 관리지표 개발·적용, 공신력 있는 ESG 평가기준 표준화 및 정보 공개, ESG 도입 컨설팅 지원, ESG 경영 지침서 및 정보 제공 등을 꼽아 공공기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ESG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이에 연구원은 공공기관의 ESG 도입 절차 전략으로 ▲(단계 1) 초기 ESG 관련 실무 업무를 기획·조정할 ESG 담당자 우선 지정 ▲(단계 2) 정부 통합공시 항목에 포함된 ESG 경영 항목부터 우선적 실적 관리 ▲(단계 3) ESG에 대한 전(全)사적 인식 제고 ▲(단계 4) ESG 도입과 향후 추진방향에 대한 기관별 맞춤형 외부전문가 컨설팅 실시 ▲(단계 5) ESG 경영실적 관리·활용 등을 제시했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공기관이 ESG 도입 순항을 하기 위해서는 “CEO의 ESG 경영 도입 및 운영 리더십 정립, 중대성 평가를 통한 공공기관의 ESG 경영 ‘핵심이슈’ 선정, 공공기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ESG 경영실적 평가 관리지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