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영동에 위치한 고양 벽제수질복원센터
고양시 지영동에 위치한 벽제수질복원센터는 지난 5년간 방류수 기준을 초과해 문 과태료만 3,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처리 용량 부족으로 차집관로에서 오염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매년 반복돼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고양시에 있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총 4곳(벽제·원능·일산·삼송)으로 ‘수질복원센터’라는 이름으로 민간위탁 운영되고 있다. 고양시는 해당 시설에 대해 운영에 전문성과 노하우가 필요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위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시설들은 고양시와 환경부 및 환경공단이 함께 관리·감독하고 있으며 TMS 센서를 통해 24시간 방류수 오염에 대한 감시가 이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양시 벽제수질복원센터는 지난 5년간 총 14건의 방류수 기준을 초과했으며 그때마다 환경부로부터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벽제수질복원센터 관계자는 2019년~2020년 사이 24시간 시설 가동을 멈추지 않는 상태로 증설 공사를 진행하며 T-N, T-P, SS 등 총 4가지 항목에 대한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T-N과 T-P 수치는 각각 물속에 존재하는 질소(N)와 인(P)의 양을 나타내며 이같은 수치가 초과된 채 강·호수·바다로 방류수가 흘러들어갈 경우 부영양화 현상, 플랑크톤 이상 발생 등 수질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현재 벽제수질복원센터는 일평균 3만톤에 이르는 방류수를 공릉천으로 쏟아내고 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벽제수질복원센터의 경우 가동률은 90%를 넘기고 있고 비가 오는 날에는 가동률이 무려 98%에 달한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한 관계자는 “가동률 90%는 사실상 처리 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벽제수질복원센터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매년 5~6월의 여름철이면 차집관로의 오염수 역류로 피해를 보고 있다. TMS 센서로 관리되는 방류수와 달리 차집관로 역류는 미리 관측할 수도 대비할 수도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영동의 한 주민은 “이제껏 정확한 이유도 모른 채 매년 오염수가 튀는 걸 보고 있다”며 “시청에 여러 번 민원을 넣어도 그때그때 터지는 관을 메울 뿐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하지 않은 채 주민들의 피해만 반복되고 있다”며 울분을 터뜨렸다.
벽제수질복원센터 인근에 사는 또 다른 주민은 “처리시설로 인분 등 각종 오염수가 모이는 걸로 알고 있다”며 “오염수가 역류할 때면 악취도 심하다”고 말했다. 또한 “하수처리장과 같은 기피시설의 경우 시와 운영 기관에서 주민들을 위해서라도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 아니냐”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부족한 처리 용량이 근본적인 이유
그럼에도 증설 계획은 빨라야 2028년
고양시와 벽제수질복원센터 관계자 모두 해당 시설의 높은 가동률과 용량 부족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실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증설 계획은 빨라도 2028년으로 예상된다.
고양시 관계자는 “수질복원센터 증설의 경우 고양시 자체적으로 진행할 수 없는 부분이고 국비를 지원받아야 하기 때문에 지금도 환경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계획되어 있는 증설 공사 시점은 2030년이며 시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증설 필요성 때문에 하루라도 계획을 빨리 진행하기 위해 오는 2028년으로 공사 시점을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벽제수질복원센터 관계자는 “해당 시설이 증설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이는 시설을 운영하는 센터에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고 밝혔다.
수질복원센터의 관리·감독을 맡고 있는 고양시 상하수도사업소는 2023년까지 경기도 주관의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3회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지난 3년간 주민들의 피해와 민원이 끊이질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업소가 진정 우수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지 주민들은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고 말했다.